16회차의 내용은 전기회로의 직렬 연결Series와 병렬 연결parallel을 직접 해보고 다른 점을 찾아보는 것과 도체conductor와 부도체non-conductor의 차이를 확인해보는 것이었다.
흐르는 물이 물레방아를 돌릴 수 있는데 펌프를 이용해서 떨어진 물을 다시 높은 곳으로 옮길 수 있다면 물레방아는 계속 돌아가게 되는데..
전기회로에서 전지battery, power source가 펌프의 역할을 해서 전류가 흐를 수 있게 해주고, 물레방아가 도는 것처럼 전구bulb에 불이 켜지고, 전선이 물이 흘러가는 길의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에 그린 기호를 잘 기억하고..( 긴 쪽이 +극!!)
아래 그림을 그려준 다음 직접 회로를 연결해 보게 했다.
왼쪽 회로도처럼 연결을 하면 전구 4개가 전부 밝게 빛이 나고, 전구 하나를 빼도 다른 전구에는 아무런 변화가 생기지 않았고
오른쪽 회로도처럼 연결을 하면 전구 4개가 전부 어두워져서 실내 조명을 꺼야 잘 보일 정도로 어두웠고, 전구 하나를 빼면 나머지 전구 모두의 불이 꺼지는 것을 확인했다.
그리고 전선 하나를 뺀 다음 그 사이를 플라스틱 막대, 나무막대, 녹이 슨 못, 연필심으로 연결을 해 보면서 어떤 물체가 전기를 잘 통하게 하는지 확인하고 대부분의 금속은 전기가 잘 통하는 도체 conductor이고, 플라스틱, 나무 등은 전기가 잘 통하지 않는 부도체 nonconductor라는 것을 확인.
그런데 연필심은 금속이 아닌데도 전기가 잘 통하는 물질이라는 것과..
금속이지만 녹이 슨 못은 전기가 잘 통하지 않게 된다는 것, 녹을 제거하면 전기가 잘 통하게 된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전기가 잘 흐르는 금속은 금인데... 보통 전선은 구리를 이용해 만드는 이유를 이야기했고,
컴퓨터 부품에는 금을 사용하기 때문에 버려진 컴퓨터에서 금을 찾아내기도 한다는 것을 이야기했는데..
여기 참고용 영상!
그리고 어떻게 하면 못에 녹이 잘 스는지 확인하기 위해 못 두 개의 녹을 사포로 닦아낸 다음 하나는 땅에 꽂아놓고, 하나는 그냥 집 안에 두고 살펴보기로 했다. 어떤 녀석이 더 빨리 녹스는지..
17회차에는 16회차에 진행한 전기회로의 직렬연결, 병렬연결을 조금 더 설명하고
전기의 두 종류, 전기를 만드는 방법 그리고 전기를 잘못 다루면 정말 위험하다는 것을 보여줄 계획
그리고 전기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를 이용하는 법도 살펴보고..
도체, 부도체와 다른 반도체semi-conductor를 몇 가지 살펴봐서 전기를 이용해서 여러가지를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줄 계획
'실험 > 초등 ' 카테고리의 다른 글
18회차 계획 (0) | 2018.12.03 |
---|---|
17회차 직렬연결 병렬연결 + 저항, 직류과 교류 (0) | 2018.11.30 |
15회차 계획 (0) | 2018.11.13 |
14회차 관성과 작용 반작용 (0) | 2018.11.07 |
14회차 계획 (0) | 2018.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