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초등 썸네일형 리스트형 30, 31회차 정리 중 더보기 32회차 화학전지 과일전지 정리 중 화학전지를 만들 기 전에 먼저 test tube에 마그네슘 Mg, 알루미늄 Al, 아연 Zn, 구리 Cu 네 가지 금속 조각을 넣어준 다음 pipette으로 황산sulfuric acid H2SO4을 조금씩 넣어주면서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살펴봤다. test tube를 더러운 것을 써서 사진은 생략.. 그 결과 마그네슘과 아연을 넣은 시험관에서는 기포가 많이 올라왔는데 알루미늄과 구리를 넣은 시험관에서는 기포가 올라오지 않았다.이 때 발생하는 기포가 무엇인지 살펴보기 위해 conical flask에 황산을 넣어주고 고무풍선에는 마그네슘 조각을 넣은 다음 고무풍선을 플라스크 입구에 씌워서 마그네슘 조각이 플라스크 안으로 들어가게 했다. 그 뒤 기포가 발생하면서 풍선이 조금 부풀어 올랐고, 플라스크에 들어간 .. 더보기 29회차 이어서 부피 계산하기 원래 계획은 좀 더 다양한 크기의 물체를 이용해서 부피를 재고 질량을 확인한 다음 질량을 부피로 나눠서 비슷한 값을 보여주는 것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었다 그래서 다시 각 변의 길이를 재고 곱해서 부피를 구하는 것은 아주 가볍게 해결했는데... 저울을 이용해서 질량을 측정하는 것도 가뿐히 해결했는데... 나눗셈이 생각보다 오래걸려서 이건 다음 시간까지 해결하기로 하고 모양이 제각각인 물체의 부피를 확인하기 위해 꼭지 달린 물통에 물을 채우고 물체를 넣었을때 넘쳐 흘러나오는 물의 양을 재 봤다 이 과정에서는 물이 튀고 넘치는 바람에 사진은 없고;; 너트 두 개의 부피를 확인한 다음 질량을 재서 밀도를 구해보기로 했고 손은 부피가 얼마나 되나 확인해보자며 손을 손목까지 담궜는데 이걸 엄청 좋아해서 다음에는 .. 더보기 28회차 세균 결과 확인하고 부피 계산하기 아 실패입니다 각 배지마다 잘 자랐는데!!! 3번 배지, 우리가 아무 것도 찍지 않은 3번 배지에도 쑥쑥 자라나는 바람에 이게 1번, 씻지 않은 손가락을 찍은 것이다이게 2번, 씻지 않은 손가락인데... 손가락 주인은 특별한 손님!이게 3번.. 아무 것도 찍지 않고 배지만 만들어 놓은 것4번은 비누로 손을 씻은 다음에 찍은 것5번은 특별 손님이 손을 씻고 찍었는데...6번은.. 나의 엄지발가락7번은 집에 가져가서 찍어놓은 것 손을 씻지 않고 찍어놓은 배지에서 세균이 잘 자란 것을 보면 역시 손에는 세균이 많구나! 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아무 것도 찍지 않은 3번 배지에도 세균이 잘 자랐기 때문에 우리는 혼란에 빠진다.과연 3번의 세균은 어디에서 왔을까? 그렇다면 1번과 2번에서 자란 세균은 정말 우리 손에.. 더보기 28회차 계획 지난 번에 만들어 놓은 한천 배지에서 세균이 어느 정도 자라난 것 같으니까 이걸 먼저 확인해봐서 누가 가장 세균과 친한지 확인해보고세균이 자란 배지를 버릴 때 어떻게 해야 할 지도 생각을 해봅니다.그냥 쓰레기통에 버리면 왠지 안될 것 같은 느낌!?그럼 음식물 쓰레기통에 버리면 되려나?! 버니어 캘리퍼를 이용해서 블럭의 크기를 재고 면의 넓이와 입체의 부피를 계산해 보렵니다.점을 모아 선을 만들고, 선을 모아 면을 만들고, 면을 모아 입체를 만들어보고 자로 재기 어렵게 생긴 물체의 부피를 재는 방법을 찾아보고저울로 질량을 잰 다음 나누기를 해봐서 어떤 특징을 찾을 수 있을지 살펴보기로... 물론 이걸 하나 만들어야 합니다... displacement can이라 부르기도 하고 Eureka can 이라고 부르.. 더보기 27회차 계획과 결과 - 손바닥 세균 배양 슬슬 과학적 탐구 방법을 익히는 연습을 시작합니다.STEM project를 진행하는 학생들의 모습을 보니 이건 좀 일찍 시작하는 편이 나을 것 같습니다.그래서!!이번에는 배지를 만들어서 손가락과 손톱 아랫부분을 직접 배지에 찍고,비누로 손을 씻은 다음 배지에 찍어서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그 과정에서 우리가 조작하는 것이 무엇인지, 각 배지를 어떻게 두고 관찰해야 할 지 생각해봅니다.----딱히 사진을 찍지 않아서 진행 결과를 그냥 여기에 덧붙이기로....세균이 자랄 수 있게 영양분을 섞은 한천 배지agar plate를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 여러 개 만든 다음 씻지 않은 손가락을 찍어주고, 비누로 손을 깨끗하게 씻은 다음 다시 손가락을 찍어줬다.그리고 누군가의 발가락도 하나 찍어보고, 가장 중요한 .. 더보기 26회차 빛-그림자 먼저 그림자가 왜 생기는지 물어봤는데 물체가 빛을 가리기 때문이라고 했다. 그래서 전구 앞에 플라스틱 판을 끼워보게 했는데 기대했던 그림자는 생기지 않고 다양한 색의 빛을 볼 수 있었다.그 다음 플라스틱 판을 치우고 지우개를 하나 놓았을 때는 그림자가 생기는 것을 확인하고 모든 물체가 그림자를 만들 수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아마 알게 되었을거야....여기서 더 알아두면 좋은 것은 아래 세 가지 구분인데, 불투명한 물체는 빛을 통과시키지 않기 때문에 그림자를 만들 수 있다고...투명한 물체 Transparent objects allow light to travel through them. Materials like air, water, and clear glass are called transparen.. 더보기 26회차 빛 이어가기 - 그림자 빛과 그림자그림자가 왜 생기는지.. 모든 물체가 그림자를 만들 수 있을지 알아보고 - 투명, 불투명 구별하기그림자의 크기를 바꾸는 방법을 생각해보고 그림자의 크기를 이용해서 전구가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 알아볼 수 있을지... 생각해보고 계산할 수 있을지 알아봅니다. 생각보다 빨리 끝나면 도형 넓이 구하기에 도전! 하면서 제곱을 이야기해야 하니 비슷한 방법으로 큰 숫자를 나타내는 방법을 살펴봅니다. 더보기 25회차 유사 광선검 만들기 할로윈 대비 광선검 비슷한 것 만들기. 아직 할로윈은 한참 남았지만 원래 준비는 미리미리 하고 싶을 때 하는 것이니까! 우선 아크릴 파이프를 잘라야 하고, 레이저 포인터를 임시로 연결해보니까 생각보다 그냥 곧게 뻗어 나가는 빛이 많다. 그럼 뻗어나가는 빛을 광선검으로 되돌려 보내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물어보니 반사를 시키면 된다고.. 무엇으로 반사를 시킬까? 거울? 근데 우리가 갖고있는 거울은 유리로 만든거라 그걸 붙이면 위험하지 않을까? 그럼.. 금속! 이라고 하길래.. 뭐가 적당할지 생각해보다가 하나 찾은 것이 있어서 지름이 얼마인지 재 보기로 했다.그냥 막대자를 갖고 둥근 물체의 지름을 재 보려니 쉽지 않아서 새로운 도구 투척! 버니어 캘리퍼 vernir caliper 하나로 파이프의 바깥지름, 안.. 더보기 25회차 빛 이어가기 할로윈 아이템 제작? 이번에는 광선검 비슷한 것을 만들어 봅니다. 지난 시간에 만든 모자에 달 조명과 함께 광선검 비슷한 것을 들고 할로윈에 사탕을 받으러 가기 위해!!!LED 대신 레이저 모듈을 쓸 생각인데... 너무 기대를 키워놓은 것은 아닌가 걱정이 됩니다... 더보기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