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실험/초등

26회차 빛-그림자

먼저 그림자가 왜 생기는지 물어봤는데 물체가 빛을 가리기 때문이라고 했다.
그래서 전구 앞에 플라스틱 판을 끼워보게 했는데 기대했던 그림자는 생기지 않고 다양한 색의 빛을 볼 수 있었다.

그 다음 플라스틱 판을 치우고 지우개를 하나 놓았을 때는 그림자가 생기는 것을 확인하고
모든 물체가 그림자를 만들 수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아마 알게 되었을거야....

여기서 더 알아두면 좋은 것은 아래 세 가지 구분인데, 불투명한 물체는 빛을 통과시키지 않기 때문에 그림자를 만들 수 있다고...

투명한 물체 Transparent objects allow light to travel through them. Materials like air, water, and clear glass are called transparent. When light encounters transparent materials, almost all of it passes directly through them. Glass, for example, is transparent to all visible light. 

반투명한 물체 Translucent objects allow some light to travel through them. Materials like frosted glass and some plastics are called translucent. When light strikes translucent materials, only some of the light passes through them. The light does not pass directly through the materials. It changes direction many times and is scattered as it passes through. Therefore, we cannot see clearly through them and objects on the other side of a translucent object appear fuzzy and unclear. 

불투명한 물체 Opaque objects block light from traveling through them. Most of the light is either reflected by the object or absorbed and converted to thermal energy. Materials such as wood, stone, and metals are opaque to visible light.

그 다음은 백열전구를 하나 꺼내서 불을 켜 보고, 집에서 많이 쓰는 형광등과 다른 점을 잠깐 확인해보고
백열전구와 물체 사이의 거리를 바꿨을 때 그림자의 크기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확인해봤다.
빛이 전구의 필라멘트에서 나와서 공간으로 곧게 뻗어나가기 때문에 광원에 가까이 있을수록 더 많은 곳으로 나아갈 수 있는 빛을 막아버려서 더 큰 그림자를 만들어 낸다고...

그리고 아침, 점심, 저녁에 나의 그림자를 보면서 느끼게 되는... 아침, 저녁에는 그림자가 길어지는 것은 어떻게 된 일인지 알아보기 위해
전구의 높이를 바꿔서 빛을 비추는 각도를 달리할 때 그림자의 길이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확인을 하긴 했는데..
이걸 태양의 고도와 계절, 시간을 연결하는 것은 아직...

대신 전구를 태양이라 생각하고, 전구를 바라보고 있는 사람의 머리를 지구로, 머리 옆에 놓은 둥근 물체를 달이라고 생각하면서
둥근 물체가 어느 위치에 있어야 보름달 모양을 볼 수 있는지, 반달 모양은 언제 볼 수 있는지 확인한 다음..
지구의 그림자에 달이 가려지면 달이 보이지 않는 월식 lunar eclipse도 간단하게...



그림자 복습용


그리고 세종 16년에 제작한 해시계 앙부일구-한 때 이게 오타인 줄 알았음...- 설명도 잠깐..

해시계를 직접 만들어보는 것도 괜찮을 것 같은데!?!